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「2025 육아휴직· 난임휴가 개편안 발표」놓치면 손해! 변경 내용 총정리

by 정책찐맘 2025. 7. 17.
반응형

“[2월 23일 발표] 육아지원 3법 통과, 정말 뭐가 달라졌을까?”
최근 고용노동부는 직장인 부모 위해 “육아휴직+난임치료·유산휴가” 내용을 담은 ‘육아지원 3법’ 개정안을 2월 23일 공식 발표했습니다.

맞벌이 부부 육아휴직 최대 3년, 배우자 출산휴가 20일, 난임치료휴가 6일로 실생활에서 바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죠.

공식 발표 기준으로 이제부터 정확히 달라진 내용을 하나씩 정리합니다.

✅ 1. 육아휴직 &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💡

  • 육아휴직: 부모 각각 최대 1년 6개월, 맞벌이 시 합산 최대 3년 사용 가능 
  • 배우자 출산휴가: 기존 10일 → 확장 후 최대 20일, 출산 후 20일 이내 3회 분할 가능 

✅ 2. 난임치료 & 유산·사산 휴가 강화

  • 난임치료휴가: 기존 연간 3일(유급1일) → 6일(유급2일), 중소기업은 정부가 2일 유급 지원 
  • 유산·사산 휴가: 기존 5일 → 10일, 초기 임신 근로자 보호 강화

✅ 3. 육아휴직 급여 인상 & 사후지급 폐지

  • 육아휴직 급여: 월 최대 250만원 (1–3개월), 200만원(4–6개월), 160만원(7개월 이후) 
  • 기존 25%는 복직 후 지급하던 사후지급금 폐지 → 육아휴직 중 즉시 전액 지급

✅ 4.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

기존 36주 이후 또는 임신 초기 12주 이내 단축 가능했던 것을 → 임신 32주 이후부터 사용 가능해져 보호 기간 확대 

✅ 💡 실제 체감 활용 팁

  • 육아휴직은 최소 3개월 이상 사용해야 추가 기간(1+6개월) 가능
  • 신청 전 회사 인사담당자와 통상임금 기준 합의 필수
  • 난임·유산 휴가 사용 시 사업주에게 통보 → 비밀 보장 법적으로 보호

이제 실질적인 제도 변화가 눈에 보이는 수준입니다. 맞벌이·임신·육아와 관련 있는 분들은 정부 발표문과 함께 회사 HR 정책도 꼭 확인해보세요.

✅ 함께 보면 좋은 글

👉 [ 육아휴직 급여 완벽 가이드 → ]

육아휴직 중인 부모가 아이와 함께 집 안에서 시간을 보내는 모습

반응형